메인내용

언어별 코드

언어별 코드

텔레캅 서비스

  • entelecop service
  • zh电信业务
  • jaテレコップサービス
  • deTelekop Service
  • esServicio de Telecop
  • idlayanan teleskop
  • vidịch vụ telecop

통신을 이용한 무인 방범의 대중화로 개인의 재산 보호, 범죄 예방 등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한국 통신의 원격 통신 네트워크와 경찰청의 경찰 출동 체계를 연계한 새로운 방식의 긴급 범죄 신고 서비스. 가정이나 상점 등에 무인 자동 신고 장치를 설치하고 경찰서 상황실의 신고 수신 장치와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침입자 발생이나 위급 상황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고될 수 있도록 운용,유지,관리하는 서비스이다.

정보원 부호화 정리

  • ensource coding theorem
  • zh信源编码定理
  • ja情報源符号化定理
  • deQuellencodierungstheorie
  • esteorema de codificación de fuente
  • idteorema pengkodean sumber
  • viđịnh lý mã hóa nguồn

잡음이 없는 통신로에 관한 것으로 정보원의 엔트로피가 H 샤논/문자, 통신로 용량이 C 샤논/초일 때, 이 통신로를 통하여 C/H문자/초에 가까운 속도로 정보를 보내는 부호화가 존재함을 나타낸 것. 정보원에서 발생하는 통보(通報)를 부호화할 때 이 부호의 평균 부호 길이의 한계를 주는 형태로 나타낼 수도 있다. 이 정리는 샤논의 제1부호화 정리라고도 한다.

비교 정렬

  • encomparative sort
  • zh比较排序
  • ja比較整列
  • de vergleichende Sortierung
  • esordenación comparativa
  • idJenis komparatif
  • viphân loại tương đương

정렬하고자 하는 각 레코드의 키값을 2개씩 비교하여 정렬하는 방식. 종류로는 열거된 자료에서 가장 크거나 작은 것을 찾아 목록에서 맨 끝 데이터와 바꾸는 작업을 반복하는 정렬 방법인 선택 정렬, 정렬되지 않은 부분에서 한 레코드를 골라 그것을 정렬된 부분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고 뒤의 레코드들을 한 칸씩 밀어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정렬이 이루어지는 방법인 삽입 정렬, 주어진 데이터를 크기 순서로 정렬할 때 2개의 인접한 데이터를 크기에 따라 서로 교환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정렬하는 방법인 버블 정렬, 주어진 배열을 적당히 두 부분으로 나누고 경계선을 기준으로 왼쪽에 있는 원소들이 오른쪽에 있는 원소들보다 모두 작도록 원소들을 교환한 다음, 각 부분에 대해 재귀적으로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방법인 퀵 정렬, 주어진 데이터들을 이진 트리로 구성하여 정렬하는 방법인 히프 정렬 등이 있다.

컬러 영상 신호

약어 composite color signal

  • encolor video signal
  • zh彩色视频信号
  • jaカラー映像信号
  • deFarbvideosignal
  • esSeñal de video en color, señal de color compuesto
  • idsinyal video berwarna, sinyal warna komposit
  • vitín hiệu video màu, tín hiệu màu tổng hợp

모든 동기 신호와 컬러 버스트를 포함한 완벽한 영상 신호.

대규모 에스큐엘(SQL) 주입 공격

  • enmass SQL injection attack
  • zh大规模sql注入攻击
  • jaSQLインジェクション攻撃
  • deMassen-SQL-Injection-Angriff
  • esataque masivo de inyección SQL
  • idserangan injeksi SQL massal
  • vitấn công nhập SQL diện rộng

봇넷이나 전문 스캐너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무차별적으로 웹사이트를 공격하여 취약한 사이트를 찾아 내어 데이터베이스 등의 데이터를 조작하는 일련의 공격 행위. 사용자가 피해를 당한 웹 사이크를 방문하면 조작된 웹 페이지에 따라 악성코드가 동작하게 된다. 자동화 프로그램 사용으로 인해 불특정 다수의 웹 사이트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공격 시점을 사전에 예측하기 쉽지 않고, 해당 공격으로 삽입되는 악성코드가 시간 간격을 두고 변형되는 등 지능적인 수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미디어플로

  • enMediaFLO
  • zhMediaFLO
  • jaMediaFLO
  • deMediaFLO
  • esMediaFLO
  • idMediaFLO
  • viMediaFLO

미국 퀄컴사가 개발한 모바일 텔레비전(TV) 규격. 우리나라가 개발한 모바일 TV 규격인 T-DMB, 유럽의 노키아사가 개발한 DVB-H와 더불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방식이다. 3개 방식 모두 압축 방식이나 핵심 전송 방식이 유사하다. 다만 미디어플로의 경우 채널 전환 시간이 짧고, 계층 변조를 도입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에러 정정 코드로 길쌈 부호 대신 효율이 좋은 터보 코드를 사용한다. 방송을 보지 않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를 내려받아 보고 싶을 때 볼 수 있는 클립 캐스팅(Clipcasting)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사용 주파수는 TV 방송 주파수 대역인 극초단파(UHF)를 사용하고, 6㎒ 대역에서 비디오 20개, 오디오 10개 채널을 제공한다. 2006년 말 미국의 버라이즌사가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