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내용

언어별 코드
언어 | 한국어 | 영어 | 중국어 | 일본어 | 독일어 | 스페인어 | 인도네시아어 | 베트남어 |
---|---|---|---|---|---|---|---|---|
코드 | ko | en | zh | ja | de | es | id | vi |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약어 NFV
- en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 zh网络功能虚拟化
- jaネットワーク仮想化
- deVirtualisierung von Netzwerkfunktionen
- esvirtualización de funciones de red
- idVirtualisasi Fungsi Jaringan, NFV
- visự ảo hoá chức năng mạng
네트워크의 방화벽, 트래픽 부하 제어 관리, 라우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비의 기능과 처리 기능을 서버단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기술.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네트워크 가상화(network virtualization)와는 달리, 네트워크 장비의 기능을 가상화한다. 따라서 기존의 다양하고 복잡한 장비들을 설치하여 운용할 때 발생되는 관리상의 어려움이나 설치 및 운용 비용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프레임워크는 크게 VNF(Virtualized network functions), NFVI(NFV infrastructure), NFV-MANO 아키텍처 프레임워크(NFV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architectural framework)로 구성된다. VNF는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기능들의 집합이며, NFVI는 컴퓨터 프로세싱, 스토리지, 네트워킹 자원을 가상화하고 VNF 실행을 지원한다. 그리고 NFV-MANO는 NFV의 자원을 생성 및 관리, VNF 관리 등을 수행한다. 데이터센터에서 네트워크를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네트워크상의 데이터 전송 경로, 속도 등을 소프트웨어로 제어·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기술을 함께 사용한다.
어플라이언스 컴퓨팅
- enAppliance computing
- zh设备计算
- jaアプライアンスコンピューティング
- deAppliance-Computing
- esComputación de dispositivos
- idKomputasi peralatan
- vimáy tính chuyên dụng
응용 프로그램이 최종 사용자 컴퓨터에 있지 않고 웹 서버에 있는 인터넷 기반 구조. 이때 최종 사용자 컴퓨터(어플라이언스)는 신 클라이언트(thin client)로, 읽기 전용 콤팩트 디스크 기억 장치(CD-ROM)이나 플로피 드라이브는 없고 운영 체계와 웹 브라우저만 가지고서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이 있으면 어플라이언스가 서버와 연결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불러 사용한다.
철도통합무선망
약어 LTE-R System
- enLong Term Evolution based Railwa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TE-Railway System
- zh基于长期演化的铁路无线通信系统
- ja鐵道統合無線網
- deLTE-R System
- es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ferroviario basado en evolución a largo plazo, sistema LTE-R, sistema de ferrocarril LTE
- idSistem komunikasi nirkabel Kereta Api berbasis Evolusi Jangka Panjang, Sistem LTE-R, Sistem LTE-Kereta Api
- viHệ thống thông tin liên lạc không dây đường sắt dựa trên sự tiến hóa dài hạn, Hệ thống LTE-R, Hệ thống LTE-Đường sắt
철도통신 엘티이(LTE-Railway)를 기반으로 하는 철도 무선 통신망.2018년부터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국가 소유의 전국 철도 노선에 철도통신 엘티이(LTE-R) 기술과 700MHz 통합 공공망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새롭게 구축하고 있는 철도 통합 무선 통신망이다. 철도통합무선망은 코어 장비, 기지국 장비(DU와 RRU), 관제 장치, 차량 이동국 장치, 휴대용 무선장치, 철도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열차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KTCS: Korea Train Control System)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기지국 장비, 코어 장비, 서버 등은 안정성과 가용성을 위해 이중화로 구성한다.<애플리케이션 서버>● 콜(Call) 서버: 전화 형태의 음성 통화 서버● 피티티(PTT) 서버: 푸쉬투토크 무전 통화 서버● 다자간 통화 서버: 가입자 3명 이상이 동시에 서로 통화할 수 있는 다자간 통화 서버● 영상 서버: 영상통화, 승객의 안전 및 사고 등에 대한 영상 서비스 서버● 관제 서버: Call 서버, PTT 서버, 다자간 통화 서버와 연동되어 차량 이동국 장치와 휴대용 무선 장치의 상태 정보를 각 서버의 DB를 통해 관리하고, 통신 교환 관리 및 통신 로그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녹취 서버: 사고가 난 뒤 분석을 위해 음성·영상 통화 녹취 서버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이전의 철도 무선 통신망에서는 아날로그 무전통신 시스템, 아스트로(ASTRO) 주파수 공용 통신 시스템 및 테트라(TETRA) 시스템을 혼용하여 고속철도 승무원은 무전기 세 대를 구간별로 교체하여 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LTE-R를 기반으로 하는 철도통합무선망에서는 전국의 철도 노선에서 휴대용 무선장치 한 대로도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전에는 불가능하던 열차 제어를 위한 데이터 전송, 영상 감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기능 어드레싱(functional addressing) 및 위치 기반 어드레싱 서비스(location-based addressing) 등이 가능하다.지방 자치단체의 철도 무선 통신망도 LTE-R 기술로 점차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2017년 4월에 세계 최초로 부산교통공사가 LTE-R 기반 철도통합무선망을 부산 지하철에 구축하였다.* 참고○ 아스트로(ASTRO) 주파수 공용 시스템ASTRO 주파수 공용 시스템은 모토로라솔루션이 자체 개발한 디지털 무선통신기술로서 고속철도에 적용한 기술이다. 이는 나중에 TIA에서 표준화한 P25 디지털 무선통신 표준 기술로 발전하였다.○ 기능 어드레싱(functional addressing)정해진 특정한 기능을 하는 단말기들이 그룹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기능을 기준으로 단말기들의 통화 그룹을 동적으로 편성하는 기능○ 위치 기반 어드레싱(location-based addressing)정해진 특정한 위치의 단말기들이 그룹 통화를 할 수 하도록 위치를 기준으로 단말기들의 통화 그룹을 동적으로 편성하는 기능
기억 압축
- enmemory compaction
- zh内存压缩
- jaメモリ圧縮
- deSpeicherkomprimierung
- escompactación de memoria
- idpemadatan memori
- visự nén bộ nhớ
프로그램 실행 중에 필요가 발생할 때 기억 영역을 할당하는 동적 기억 장치 할당 방식(dynamic memory allocation)에서, 할당된 기억 영역 내에서 작업 중인 영역의 내용을 기억 공간의 선두부터 최소의 공간에 모으고 꽉 채워서 비어 있는(사용 가능한) 연속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조작. 압축이라고도 한다.
인체 통신 기술
약어 HBC
- enHuman Body Communication technology
- zh人体通信技术
- ja人体通信技術
- deKommunikationstechnologie im menschlichen Körper
- esTecnología de comunicación del cuerpo humano, HBC
- idTeknologi Komunikasi Tubuh Manusia, HBC
- viCông nghệ giao tiếp cơ thể con người, HBC
통신 매체로 사람 몸에 흐르는 약간의 전류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기술.사람을 통신 매체로 하여, 보안이 뛰어나고 전송 절차가 간단하나, 거리상의 제약이 있고 데이터 전송량이 낮다. 예를 들어, 두 사용자가 파일 공유를 원할 때 사용자가 서로 악수를 함으로써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컴케어
- enCommCare
- zh康普
- jaコムケア
- deCommCare
- esComunicarse
- idCommCare
- viCommCare
디마지(Dimagi)사가 제공하는 모바일 의료 서비스로 병원이 없는 지역에 의료 지원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디마지는 MIT 미디어 랩(MIT Media Lab) 동문이 모여 개발도상국의 질병과 교육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설립한 영리 단체로, 의료 기반 시설이 부족한 지역의 의료 인력을 위한 모바일 프로그램인 컴케어를 개발하였다. 휴대 전화에 인코딩된 정보를 바탕으로 초보자라도 쉽게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전문 의료진에게 정보를 전달, 응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