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내용
언어별 코드
| 언어 | 한국어 | 영어 | 중국어 | 일본어 | 독일어 | 스페인어 | 인도네시아어 | 베트남어 |
|---|---|---|---|---|---|---|---|---|
| 코드 | ko | en | zh | ja | de | es | id | vi |
온라인 입력
- enon-line input
- zh联机输入
- jaオンライン入力
- deOnline-Eingabe
- esentrada en línea
- idMemasukan Online
- viđầu vào trực tuyến
입력 장치가 중앙 처리 장치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곧바로 중앙 처리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경우를 가리키는 용어.
버스트 방식
- enburst mode
- zh突发模式
- jaバーストモード、バースト形
- deStoßbetrieb
- esmodalidad en ráfagas
- idMode burst
- vichế độ truyền từng khối
①주변 기기와의 입출력 시 데이터의 전송을 블록 단위로 고속 처리하는 방식. 한 블록을 전송하는 도중에는 중단시킬 수 없다. ②입출력 채널을 사용하는 방식의 한 가지로, 한 입출력 장치가 한 채널을 독점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키 접근
- enkey access
- zh键存取
- jaキーアクセス, キーアクセス
- deSchlüsselzugriff
- esclaves acceso
- idakses kunci
- vitruy nhập chính
키를 지정하고 그 키를 갖는 데이터에 직접 접근하는 것.
나선형 주사
- enspiral scanning
- zh螺旋扫描
- jaうず巻走査
- deSpiralabtastung
- esexploración en espiral
- idpemindaian spiral
- viquét theo đường xoắn ốc
레이더 등에서 주사를 나선형으로 하는 것. 안테나의 최대 복사 방향이 나선형으로 나타난다.
구내 배선 시스템
약어 PDS
- enPremises Distribution System
- zh规整化布线系统
- ja統合情報配線システム
- dePremises Distribution System, PDS
- essistema de distribución de locales
- idSistem Distribusi Tempat, PDS
- vihệ thống phân bổ tại nhà khách hàng
빌딩이나 구내에 있는 전화와 데이터 통신용의 배선 시스템. 외부 통신망의 연결 지점으로 장래의 회선 증설 등을 고려해 배선 설계가 되어 있다. 보통 상업용 빌딩 배선 표준인 TIA/EIA 568을 따르고 있다.
암호화폐지갑
- encryptocurrency wallet
- zh加密货币钱包
- ja暗号通貨ウォレット
- deKryptowährung-Wallet
- esbilletera de criptomonedas
- idDompet Mata Uang Kripto
- viví tiền điện tử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해 공개키와 개인키를 저장하고 있는 지갑.암호화폐를 보유하고 거래하기 위해 필요하며 비트코인 지갑, 이더리움 지갑 등 암호화폐 종류별로 만들어 사용한다.암호화폐지갑은 우리가 일상에서 돈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갑과 달리 개인키와 공개키를 보관한다. 공개키는 계좌번호, 개인키는 계좌 비밀번호와 유사하다. 따라서 개인키가 유출되면 암호화폐 자산을 도난당한다. 사고나 실수를 대비하여 백업을 하지 않으면 개인키를 복구하지 못해 암호화폐 자산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일반적으로 핫 월렛(hot wallet)과 콜드 월렛(cold wallet)으로 나눈다. 핫 월렛은 온라인에서 동작하는 지갑으로 바로 입출금과 송금이 가능한 암호화폐 지갑을 말한다. 콜드 월렛은 오프라인에서 동작하는 지갑으로 하드웨어 지갑, 유에스비(USB) 보관, 종이 지갑 등이 있다. 핫 월렛은 언제나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이 편리하지만 해킹에 취약하고, 콜드 월렛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해킹이 거의 불가능하다.2014년 일본 온라인 암호화폐 거래소인 마운트곡스(Mt. Gox)와 2018년 비트코인 교환 서비스인 코인체크(coincheck)에서 발생한 암호화폐 도난 사건 등 대부분이 핫 월렛 해킹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