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내용

언어별 코드

언어별 코드

전문 검색 엔진

  • enfull text retrieval engine
  • zh全文检索引擎
  • ja全文検索エンジン, 全文検索エンジン
  • deVolltext-Suchmaschine
  • esmotor de recuperación de texto completo
  • idmesin pengambilan teks lengkap
  • vicông cụ tìm kiếm chuyên môn

어떤 정보의 본문 전체 내용을 색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각종 데이터를 신속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이 엔진은 기사 검색 시스템을 비롯해 각종 기술 정보, 문서 정보, 법률, 특허 정보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정보량이 늘어나면서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 수집, 관리하는 방법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어 이를 도와주는 검색 엔진의 효용성도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광선로 시험 관리 시스템

약어 AURORA

  • enAutomatic Optical Fiber Operation Support System
  • zh自动光纤操作支持系统
  • ja光線路試験システム
  • deAutomatic Optical Fiber Operation Support System, AURORA
  • esAutomatic Optical Fiber Operation Support System, AURORA
  • idSistem Pendukung Operasi Serat Optik Otomatis, AURORA
  • vihệ thống hỗ trợ vận hành sợi quang học tự động

가입자계, 시내 중계계의 광선로의 보수 지원 시스템. 광심선의 시험 및 관리 기능을 가지며 광선로의 시험 가동, 보수 가동의 삭감 및 고장 복구 등의 신속화를 꾀하고 있다.

교육 서비스 사업

분야 education

약어 LSP

  • enlearning service provider
  • zh网络教育内容服务提供商
  • ja教育サービス事業
  • delearning service provider
  • espenyedia layanan pembelajaran
  • idproveedor de servicios de aprendizaje
  • viNhà cung cấp dịch vụ học tập




안테나 높이

  • enantenna height
  • zh天线高度
  • jaアンテナ高
  • deAntennenhöhe
  • esaltura de la antena
  • idTinggi Antena
  • viChiều cao ăng-ten

일반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안테나의 가장 높은 부분까지의 높이. 방송국 등에서는 방사체의 중심까지의 높이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안테나 높이가 높아지면 이득도 올라간다.

범프 매핑

  • enbump mapping
  • zh凹凸纹理映射
  • jaバンプマッピング
  • deRelief-Mapping
  • esirregularidades, rugosidades
  • idBump mapping
  • vivẽ phần tăng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다각형으로 표현된 물체 표면에 요철(凹凸) 정보를 첨부하는 기법의 하나. 범프 매핑에 의해서 빛에 대한 음영을 상세하게 묘사할 수 있으며, 텍스처 매핑 등과 병용해서 좀 더 현실적인 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텍스처 매핑

아르에프(RF) 스펙트럼

  • enRadio Frequency(RF) spectrum
  • zh无线电频谱
  • jaラジオ波スペクトル
  • deHochfrequenzspektrum
  • esEspectro de radiofrecuencia (RF)
  • idSpektrum Frekuensi Radio (RF)
  • viPhổ tần sô vô tuyến

전자파(또는 전자기방사스펙트럼) 내에서 인위적 유도(誘導) 없이 공간으로 퍼져 나가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정의한 3 THz 이하의 스펙트럼.전자파(electromagnetic wave)는 아르에프(RF) 스펙트럼(또는 전파)을 포함하여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감마선 등 모든 주파수를 말한다. 이중 RF 스펙트럼은 통상적으로 3 THz 이하의 주파수 범위에 해당한다. * ITU는 RF 스펙트럼을 3 THz 이하에 있는 임의의 주파수 범위로 정의한다. (ITU Radio Regulations-16(RR-16): radio waves(or radio-electric spectrum) is defined as electromagnetic waves of frequency arbitrarily lower than 3,000 GHz, which are propagated in space without artificial guide.) * 전파와 RF 스펙트럼은 동일하지만 전파는 파장의 관점에서, RF 스펙트럼은 주파수 관점에서 사용한다. RF 스펙트럼은 ITU 전파 규칙(RR)에 따라 주파수 대역별로 용도를 규정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전파법에 따라 8.3 kHz~275 GHz 범위의 주파수를 관리한다. 전파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RF 스펙트럼의 이용 범위는 점차 높은 대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2017년 ITU-R report(F.2416-0)는 275 GHz~450 GHz 대역의 점대점(Point-to-Point) 고정통신에 관한 사항을 다루었다. 1864년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맥스웰(James Maxwell)이 전파가 존재한다는 맥스웰 방정식을 유도한 이후 1887년 독일의 하인리히 헤르츠(Heinrich Hertz)가 실험을 통하여 전파의 존재를 입증하였다. 이후 굴리엘모 마르코니(Guglielmo Marconi)가 대서양을 횡단하는 전파통신을 성공하면서 본격적인 전파통신의 시대가 열렸다. 특히 1948년 클로드 섀넌(Claude Shannon)이 ‘통신의 수학적 이론(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을 발표하면서 디지털 통신은 물론 정보이론, 확산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등 디지털 세상을 탄생시켰다. RF 스펙트럼은 이동통신, 방송, 와이파이(Wi-Fi) 그리고 레이더 등에 다양하게 사용하며. 4차 산업혁명을 구현하는 데에 핵심 자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