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문정보

40여 개 국가별 ICT 사업 동향, 20여 개 품목별 ICT 시장동향,
해외진출전략 가이드, 글로벌 전문가 오피니언을 통해
글로벌 ICT 전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품목별 ICT 시장동향

보고서

정의

  • 시장현황

    시장 동향
      디지털 콘텐츠 시장은 2022년 5,391억 달러에서 향후 5년간 연평균 9.1%씩 성장해 2027년 8,317억 달러를 형성할 전망
      ​​​​​• 규모가 가장 큰 산업은 비디오게임 산업으로 2023년 전체 시장의 62.4%인 3,849억 달러를 형성할 전망
      ​​​​​• 2020년~2021년까지는 코로나19로 디지털콘텐츠가 급속하게 성장했으며, 2022년~2023년까지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콘텐츠 생성 프로세스가 간소화되는 추세
    서비스 동향
      (2021~2022) 코로나19로 인한 디지털콘텐츠의 급속한 성장
      •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디지털 비디오와 오디오, 게임 소비가 급증함. 월마트는 라이브 스트리밍 쇼핑 서비스 제공을 위해 틱톡(TikTok)과 제휴하는 등 오락 콘텐츠뿐 아니라 쇼핑 산업에서도 디지털 콘텐츠를 확대함. 유튜브 쇼츠(YouTube Shorts) 일일 조회수가 2020년 말 35억 회에서 2021년 3월 기준 65억 회로 86% 급상승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임

      (2022~2023) 첨단 기술을 통한 고객 경험 개선 및 콘텐츠 생성 프로세스 간소화
      ▪ e스포츠 산업은 라이브 스트리밍 기술을 도입하면서 좀 더 몰입감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5G 네트워크의 확산으로 비디오게임 시장이 성장하였음. 가상현실 콘텐츠는 메타버스를 통해 가상세계에서 브랜드를 알리고 서비스를 제공하여 역동적이고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함.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도구가 확대되면서 아이디어, 개요, 초안 작성 등에 활용하여 디지털콘텐츠 제작 프로세스가 간소화됨
       
    글로벌 주요사업자 현황
      ▪ Apple은 음악, 도서 등의 디지털콘텐츠 및 전자제품 제조 기업으로, 2023년 1분기 아이튠즈(iTunes) 및 디지털콘텐츠 등을 포함한 서비스 매출 208억 7,000만 달러 기록
      ▪ Walt Disney는 세계 최대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OTT 서비스인 디즈니+(Diseny+), 훌루(Hulu), ESPN+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2년 10월 기준 2억 3,500만 명 이상의 글로벌 가입자 보유
      ▪ Comcast는 미국 최대의 다국적 통신 및 미디어 기업으로, 일본 게임 제작사인 닌텐도와의 협업을 통해 비디오게임 슈퍼마리오 시리즈 영화를 제작하고 전 세계에서 9억 달러 이상의 수익 기록 중
    표준화 동향
      전자출판 콘텐츠 표현 기술
       EPUB 3.2, Requirements for CJK Text Layout and Pagination

      디지털 가상화 요구사항 표준
       P2888.1, Sensor Interface for Cyber and Physical World

      웹기반 사물인터넷 연동기술
       WoT Architecture, WoT Thing Description, WoT Scripting API, WoT Binding Templates

      비디오 휴먼 팩터 가이드라인 표준

      - IEC 62629-12-2:2019, 3D display devices(ED1.0)-Part 12-2: Measuring methods for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 - Motion blur
      - IEC 62629-13-1:2017, Part 13-1: Visual inspection methods for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Ghost image
      - IEC 62629-22-1:2016, Part 22-1: Measuring methods for autostereoscopic displays–Optical


      - ISO 9241-333:2017,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Part 333: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
      - ISO 9241-392:2015, Part 392: Ergonomic recommendations for the reduction of visual fatigue from stereoscopic images